지속가능경영보고서 | 지속가능경영 | 한화첨단소재
글로벌 내비게이션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본 보고서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한화첨단소재의 ESG경영(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에 대한 성과 및 활동 내용을 담았습니다.
이를 통하여 이해관계자 분들과 활발히 소통하고자 합니다.

2024 GRI 기준 ESG 보고서 KOR Ver.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표지
일반공개
  • 조직 프로필
  • 전략
  • 윤리 및 투명성
  • 거버넌스
  • 보고관행
경제
  • 201 : 경제성과
  • 203 : 간접 경제효과
  • 204 : 조달관행
  • 205 : 반부패
  • 206 : 경쟁저해행위
환경
  • 302 : 에너지
  • 303 : 용수
  • 305 : 배출
  • 306 : 폐수 및 폐기물
  • 308 : 환경적 컴플라이언스
사회
  • 401 : 고용
  • 402 : 노사관계
  • 403 : 산업 보건 및 안전
  • 404 : 훈련 및 교육
  • 405 : 다양성 및 기회 균등
  • 406 : 차별 금지
  • 408 : 아동 노동
  • 409 : 강제노동
  • 411 : 원주민 권리
  • 415 : 공공정책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KOR Ver. ENG Ver.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표지
Introduction
  • CEO Message
  • Company Profile
Overview
  • ESG Management
  • 이중 중대성 평가
  • ESG Highlights
Sustainable Solutions
  •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 Green Biz Innovation
  • Safety Workplace
  • Ethical Management & Compliance
  • Enhancing Work Environment & Career Development
ESG Performance

Environmental

  • SHE(안전보건환경) 경영
  • 환경경영
  • 환경영향 저감
  • 친환경 제품

Governance

  • 지배구조
  • 윤리 및 컴플라이언스
  • 리스크 관리

Social

  • 안전보건경영
  • 인재경영
  • 인권 및 다양성 존중
  • 제품 책임 및 고객 만족
  •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
  • 지역사회 참여 및 공헌
  • 개인정보보호 및 사이버 보안
TCFD Report
  • 기후변화 대응 거버넌스
  • 기후변화 대응 전략
  •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 기후변화 지표 및 목표
ESG Factbook
  • Economic
  • Environmental
  • Social
  • Governance
Appendix
  • Sustainability Commitments
  • 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
  • GRI Standards
  • SASB Index
  • 온실가스 검증의견서
  • 제3자 검증의견서
  • 수상 및 가입단체 현황

2022 지속가능경영보고서 KOR Ver. ENG Ver.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표지
Introduction
  • CEO Message
  • Company Profile
ESG Highlights
  • ESG Management
  • ESG Investing
  • 이중 중대성 평가
Sustainable Solutions
  • 2050 Net Zero Pathway
  • Green Biz Innovation
  • Safety Workplace
  • Regulatory Compliance
ESG Performance

Environmental

  • SHE경영 추진체계 및 투자
  • 환경경영
  • 안전보건경영

Social

  • 인재/인권 및 다양성
  • 제품 책임 및 고객 만족
  •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
  • 지역사회 참여 및 개발

Governance

  • 지배구조
  • 윤리 및 컴플라이언스
  • 리스크 관리
  • 개인정보보호 및 사이버보안
ESG Factbook
  • Economic
  • Environmental
  • Social
  • Governance
TCFD Report
  • 기후변화 대응 거버넌스
  • 기후변화 대응 전략
  •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 기후변화 지표 및 목표
Appendix
  • Sustainability Commitments
  • 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
  • GRI Standards
  • SASB Index
  • TCFD Index
  • WEF Stakeholder Capitalism Metrics
  • 온실가스 검증의견서
  • 제3자 검증의견서
  • 수상 및 가입단체 현황

2021 지속가능경영보고서

Introduction
  • CEO Message
  • Company Profile
  • Next Business Solution
ESG Highlights
  • ESG Management
  • Sustainability Commitments
  • 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실
  • 중대성 평가
Sustainable Solutions
for the Green Planet
  • 2050 Net Zero
  • Green Energy
  • Green Recycling
  • Green Hydrogen
ESG Performance

Environmental

  • ESH 경영체계
  • 기후변화 대응
  • 환경경영
  • 안전보건경영

Social

  • 품질경영
  • 인재경영
  • 상생경영
  • 나눔경영

Governance

  • 지배구조
  • 윤리·준법 경영
  • 리스크 관리
  • 정보보안
ESG Factbook
  • ESG Data
  • SASB Index
  • TCFD Index
  • WEF Stakeholder Capitalism Metrics
Appendix
  • 연결재무제표
  • GRI Standards
  •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의견서
  • 제3자 검증의견서
  • 가입 단체 현황 및 수상 내역

환경안전 보건방침

한화첨단소재는 지속적인 기업발전과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기 위하여 환경·안전·보건을 기업경영의 고유가치로 인정하고 다음과 같이 노력한다.

  1. 1 우리의 제품 및 서비스를 고객의 기대와 요구에 충족시킴은 물론 안전하고 환경 친화적인 제품생산 및 서비스의 제공에 최선을 다한다.
  2. 2 우리는 제품의 개발과 제조, 판매, 서비스 제공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사회와 근로자에게 인명사고와 재산손실의 피해를 끼치지 않도록 안전과 보건을 확보한다.
  3. 3 환경보전과 쾌적한 근로환경의 조성을 위하여 환경경영체제를 구축하고 운영하여 기업경영의 모든 단계에서 오염방지 및 지속적 개선활동을 실시한다.
  4. 4 경영활동 전 과정에서 소요되는 모든 자원과 에너지의 근원적 제어를 통하여 자원과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과 절감에 노력한다.

가이드라인

법적기준 준수

환경·안전·보건 부문에 대한 국가/지방 자치단체의 관련법규를 철저히 준수함은 물론 보다 엄격한 사내기준을 설정하여 스스로 지키고, 국제적으로 논의되는 각종 규제에도 사전 예방적인 노력을 기울여 자발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

라인책임제도 정착

환경·안전·보건 부문의 제반 규정을 철저히 이행하여야 하며, 일차 책임은 본인에게 있고, 관리책임은 해당 관리 조직체계(Management Line)에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조직 및 운영 체계를 정비하여 그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하여야 하며, 관련 실적은 객관적인 평가 방법과 기준에 의하여 조직과 개인의 업적고과에 반영한다.

비상대응체제 구축

발생 가능한 모든 환경·안전·보건 사고와 긴급 상황에 대비 절차를 명확히 설정하여야 한다.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비상훈련을 통하여 비상사태 발생시 그 영향을 최소화하며, 지역사회에도 적극적으로 협조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지역사회 구현에 노력한다.

환경경영체제 구축

환경문제에 대한 단순 비용 부담적, 규제 대응 등의 1차적 사고에서 벗어나 기업경영 전반에 걸쳐 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환경경영 체제를 구축하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감사(Audit)절차를 수립, 운영하여 수준향상에 노력한다.

환경친화적 제품 생산 및 서비스

개발·설계·구매·생산·판매·사용·폐기 등 경영활동 전 과정에 대한 환경영향을 사전 검토하여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 및 이에 대한 대책을 구체적으로 고려한 환경 친화적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구환경 보전 및 오염방지

경영활동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저감 및 효과적인 처리를 통하여 환경오염 물질의 배출을 최소화 한다.

자원 및 에너지의 원천관리

경영활동 전 과정에서 투입되는 모든 물적자원에 대한 적정성을 평가하고, 회수·재사용·재자원화를 실천하여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과 저감에 노력한다.

중대재해 근절

인명과 재산손실 사고는 규모에 관계없이 보고되어 원인분석 및 재발방지 대책이 이행되어야 한다. 사고의 잠재 위험에 대해서도 철저히 관리하여 중대한 재해발생을 사전에 억제한다.

예방안전 활동강화

사업장내 모든 위험요소는 주기적인 점검과 관련교육 등을 통해 사전에 발견하고 평가하여 그 요소를 제거하거나 안전시설을 보완함으로써 인적, 물적 피해가 없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협력업체 안전수준

협력업체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우리와 동일한 수준의 안전관리 체계를 보급하고, 지도·지원하여 안전성 향상에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이를 위하여 업종과 규모에 따라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협력업체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한다.

제품 및 서비스의 안전성 확보

우리가 공급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 지역사회의 안전과 건강을 확보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야 하고,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노력한다.

쾌적한 작업환경 유지

건강하고 능률적인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개선과 근로자 개인에 대한 체계적인 보건관리를 실행한다.

직업병 발생예방

업무와 관련하여 직업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합리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여야 하며, 근로자는 적극 참여하여야 한다. 업무상 재해를 입거나 직업병 발생이 예견되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담당업무를 조정하여야 하며 이는 합리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건강증진 프로그램 시행

근로자의 보건과 건강증진을 위하여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하며 사전ㆍ사후관리를 통한 회사의 인적 손실을 예방해야 한다.